본문 바로가기
주식

한국파마 주가 전망 상승하는 이유

G3andG2 | 2020. 10. 13.

#한국파마

09%) 오른 3만1750원에 거래 중입니다. 85%(2500원) 상승한 13만80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공모를 통해 회사로 유입되는 자금은 109억~143억원이 될 전망입니다. 수요예측은 22~23일 양일간 진행되며 공모가를 확정 후 29~30일 일반공모 청약을 진행합니다.

한국파마(8).jpg한국파마(9).jpg

한국파마

한국파마는 다음 달 10일 상장 예정이며,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대우다. 내년까지 추가로 21개의 신제품을 선보일 계획으로 현재 사업 확장을 위한 신공장 부지도 확보했습니다.

한국파마(6).jpg한국파마(7).jpg

43%(4700원) 상승한 2만56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3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국파마는 29일부터 이틀간 진행한 일반 투자자 대상 청약 결과 2,03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한국파마(4).jpg한국파마(5).jpg

상한가종목은 유가증권시장보다 코스닥시장이 많다. 앞서 22일과 23일 진행된 수요예측에서는 1,384건의 국내외 기관이 참여해 1,296대1의 경쟁률을 기록, 공모가(9,000원)를 밴드 최상단으로 결정했습니다.

이외에도 소화기계 32개, 순환기계 15개, 항생항균제 12개, 기타 처방의약품 60개 등을 추가로 확보해 총 157개 전문의약품의 포트폴리오로 자랑합니다. 매출의 20%를 차지하는 CMO사업 부문에서는 정신신경계, 순환기계 약품을 통해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한국파마(2).jpg한국파마(3).jpg

3% 증가한 72억3천700만원이었다. 적극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전문의약품 분야 외 일반의약품(OTC)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넓혀나갈 방침입니다.

한국파마(14).jpg한국파마(15).jpg

회사 측에 따르면 최 신임 대표는 고려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지난 2001년 한국노바티스에 입사하면서 제약업계에 발을 들였다. 금일 고가는 32,850원이고, 저가는 27,650원입니다.

이 물질은 미국 식품의약처(FDA)가 코로나19 치료제로 최초 승인한 '렘데시비르'보다 세포 침입 차단과 감염 후 증식 억제에 있어 50배 이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가운데 휴맥스홀딩스, 한국마파는 장중 상한가를 기록한 뒤 차익매물이 나오며 주가가 상한가에서 소폭 밀리고 있습니다.

한국파마(10).jpg한국파마(11).jpg

지난 4년간 한국먼디파마를 이끌었던 이명세 전 대표는 최근 신약개발기업 샤페론으로 자리를 옮겼다. 박 대표는 적극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전문의약품 외 일반의약품(OTC) 시장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것이라며 내용액제와 산제 제형을 생산품목으로 추가해 경쟁사 대비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파마(0).jpg한국파마(1).jpg

이번에 임상 1상 시험이 승인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은 경희대학교 바이오메디컬 센터장 교수가 개발한 'APRG64'다. 향남공장은 외용액제·로션제에 대해 유럽연합 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EU GMP)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한국파마는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정신신경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항생항균 등 제조에 강점이 있으며 내분비, 호흡기, 소염제, 당뇨병 등 다양한 질환군의 기타 처방 의약품을 제조판매하는 회사다. 한국파마는 오전 11시가 안되서부터 가파른 상승세다.

한국파마(18).jpg한국파마(19).jpg

또한 다양해지고 세밀화 되는 고객사의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신공장 부지도 확보한 상태다. 4% 급증한 55억2천800만원을 올렸다.

한국파마(12).jpg한국파마(13).jpg

매출의 약 80%에 해당하는 전문의약품 사업 부문은 정신신경, 소화기, 순환기에 대한 특화약품을 중심으로 다품목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안정적인 매출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루만에 오름세로 가격제한폭까지 오른 상한가다.

83% 등 20% 넘게 급등하며 상한가에 다가서고 있습니다. 코스피가 장중 2400선을 회복한 가운데 상한가 종목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국파마(16).jpg한국파마(17).jpg

한국파마는 전문의약품(ETC)과 위탁생산(CMO)을 두 축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57% 등 급등하며 상한가에 도전장을 던지고 있습니다.

한국파마는 최근 3년간(2017~2019년) 총 32개의 제네릭 신제품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특히 지난 2004년 정신신경계 시장에 진입하면서는 조현병 치료제와 항우울제, 항불안제, 치매 치료제,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 등을 포함해 38개 약품을 개발·보유하고 있습니다.

5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