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더리움 전망 기대되는 이유

G3andG2 | 2020. 10. 13.

#이더리움 전망

6일 크립토머니에 따르면 블룸버그의 마이크 맥글론(Mike McGlone) 분석가는 ‘비트코인 상승세가 이어져 2025년에는 10만 달러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더리움은 디파이를 구축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손꼽힌다.

바이낸스 체인 개발 커뮤니티(BCDC)는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inance Smart Chain; BSC)의 백서를 공개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가 벌어진 3월 이후 상승세가 시작된 비트코인이 2020년대 중반까지 계속 성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더리움(4).jpg이더리움(5).jpg

이더리움 전망

맥글론 분석가는 최근 내놓은 10월 중 암호화폐 시세 전망에서 “비트코인의 가치가 증명되면서 범용성이 상승하고 그에 따라 가격이 꾸준히 올라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BCDC는 “듀얼 체인 아키텍처는 사용자들이 바이낸스 체인 쪽에서는 빠르게 거래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다른 한 쪽인 BSC에서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이상적일 것”이라며 “BNB 스테이킹에 관심이 있는 BNB 홀더들은 BSC 개발을 지원하며 보상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더리움(2).jpg이더리움(3).jpg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최근의 주식시장 약세가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가격 하락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 등, 원인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대중의 관심도를 측정하는 구글 트렌드 지수는 8월 초 정점을 기록한 후 월말까지 내림세를 나타냈습니다.

이더리움(0).jpg이더리움(1).jpg

실제로 비트코인은 이집트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젊은이들 사이에서 저축, 즉 가치저장 수단으로서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애초부터 발행 총량이 정해져 있고, 이것이 모두 채굴되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는 채굴자들의 보상도 사라진다.

0은 기존 이더리움의 작동 방식을 개선한 것으로 올 연말 공개될 예정입니다. 알트코인이 ‘대장’을 움직였다?<뉴스BTC>는 이더리움, 에이다 같은 알트코인들의 최근 상승세가 ‘대장’ 비트코인의 상승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더리움(12).jpg이더리움(13).jpg

맥글론 분석가는 과거에도 비트코인 가격에 대해 50만 달러의 잠재력을 지녔다고 평가한 적이 있지만, 시한을 정해놓고 시세를 예측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해외 유명 인플루언서들의 전망도 엇갈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더리움(14).jpg이더리움(15).jpg

쟁글 리서치팀은 이런 지표들이 올해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세를 이끈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가 소수의 참여자로 인해 과열됐던 것이라는 추측의 근거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이날 급격한 브레이크아웃은 비트맥스 등 마진거래소에서 숏스퀴즈에 따룬 유동성이 풍부해진데서 비롯됐습니다.

그 후에는 390~400달러(약 46만~47만원) 사이 박스권에 머물다 이날 한 때 433달러(약 51만원)까지 올랐다. 0 출시 및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 시장 성장에 대한 기대는 이더리움 가격 상승의 장기적인 버팀목입니다.

이더리움(18).jpg이더리움(19).jpg

BNB는 스마트 계약 실행의 가스비와 토큰 스테이킹에 활용된다. 최근 급격한 하락세를 보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가격 변동이 구글 트렌드 지수를 통해서도 일부 예측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더리움(8).jpg이더리움(9).jpg

그는 이더리움은 앞으로 500달러까지 오를 준비가 돼있다고 말했습니다. 반감기는 비트코인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시기다.

숏스퀴즈는 가격 하락에 베팅한 공매도 세력들이 예상과 달리 가격이 오르자 손해를 만회하기 위해 중간 매수에 나서면서 시세가 급등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BSC는 짧은 블록타임과 낮은 수수료를 지원할 수 있는 PoSA 합의 매커니즘을 따른다.

이더리움(16).jpg이더리움(17).jpg

이더리움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 중 금융 서비스가 84%를 차지했다는 의미다. 지난 1년간의 구글 트렌드 지수에서도 비트코인 관심도가 가장 높았던 것은 세 번째 반감기가 있었던 5월 중순이었지만, 이더리움의 관심은 8월 초에 증폭됐습니다.

이더리움(6).jpg이더리움(7).jpg

이 전까지만 해도 230~240달러(약 27만~28만원) 선에 머물던 가격이 오르기 시작해 7월 25일 300달러(36만원)를 돌파했고, 약 일주일만인 8월 2일 400달러(약 47만원)도 넘어섰다. BCDC는 “오늘날 바이낸스 체인 개발팀은 네이티브 덱스 블록체인의 고성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친숙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현재 바이낸스 체인의 병렬 블록체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단기적 변화에 대한 추측인 만큼, 개인이 이를 투자 판단의 근거로 삼는 것에는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쟁글 리서치 선임연구원은 “일부 지표만으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의 가격 방향성을 단정하긴 어렵다”면서도 “대중의 관심사나 지갑 수, 온체인 지표들을 함께 보면 유의미한 분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더리움(10).jpg이더리움(11).jpg

쟁글은 앞서 온체인 지표를 근거로 8월 이후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이더리움 가격은 7월 말부터 상승세를 탔다.

한편, 9월 이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가격은 각각 -15%, -26%를 기록하며 약세장을 기록 중입니다. 또 기존 이더리움 메인넷과도 호환돼 이더리움 생태계를 공유합니다.

5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